제 영상에서 책임을 논한다면 기름을 부은 것이니 반성하지만 제가 잘못한 건 과도한 추측과 비꼬기였을 뿐
이 무슨 말도 안되는 개소리일까,
그것이 알고 싶다 측에 “그 유투버”가 서면으로 남긴 입장이라고 한다. 문제 제기는 계속되어야 한다. 일괄적인 규제는 표현의 자유라는 이유로 실현될 수 없겠지만, 사람들은 이러한 이들에 대한 비판을 멈추어서는 안된다.
마케팅을 내세워 파이어 페스티벌을 기획한 사람 또한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조롱거리로 끝나서는 안된다. 인플루언서를 통해 실체 없는 페스티벌을 부풀려 홍보하고, 어이없는 결과로 이어지기까지 무책임한 태도를 보인 사람들 잊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단순히 “과장된 말” 이라는 핑계로 덮어지기 보다는, 계속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온라인 환경을 악용하는 사람들에게 책임을 묻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것이 굉장히 화가 나지만, 끈기를 가지고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은 더욱 강해진다.
'The story > 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큐 추천]KBS 환경 스페셜 - 옷을 위한 지구는 없다 (0) | 2021.08.04 |
---|